IP 주소 : 192.168.10.0/24.
5개의 VLAN이 존재 하는것으로 하고, 스위치 상에는 3개만 정의
(*IP 주소 설계시 참고, 서브넷 번호는 0번째 부터 시작)

----------------------------------------------------------------------------------------------------
가상랜    이름        PC그룹                          IP 주소                            디폴트게이트웨이
-----------------------------------------------------------------------------------------------------
vlan 10  student  PC10,PC40    1번째 서브넷  3번째 유효 주소부터 사용    마지막 유효 주소
vlan 20  faculty   PC20            2번쨰 서브넷   3번째유효주소부터 사용      마지막 유효 주소
vlan 30  guest     PC30,PC50   3번째  서브넷   3번째 유효주소부터 사용    마지막 유효 주소
vlan99   management             마지막 서브넷  1번째 유효주소부터 사용          마지막 유효 주소
                                                                 (S1,S2,S3순으로)       
-----------------------------------------------------------------------------------------------------

장비간의 연결은
PC10 - fa0/5(S2),  PC20 - fa0/10(S2), PC30 - fa0/15(S2)
PC40 - fa0/5(S3),  PC50 - fa0/15(S3)
Gig1/1(S1) - Gig1/1(S2), Gig1/2(S1) - Gig1/1(S3)  이다.

문제 1) 스위치 이름을 설정하시오(S1)
문제2)  콘솔 접속및 telent(VTY, 가상 단말수 5) 접속시 비밀번호 설정하시오(cisco).
문제3) Layer 3 스위치 주소를 설정하시요.(주소는 위표 참고)
문제4) 스위치 디폴트게이트웨이를 설정하세요(주소는 위표 참고).
문제5) 각 스위치(S1, S2, S3) 포트를 알맞게 설정하세요.
문제6)  PC10,20,30,40,50에 대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디폴트게이트웨이등의 주소를 설정하세요.
문제7)  스위치 S3에서는 PC50만 해당포트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위반시에는 포트 비활성화 시킬수 있도록 설정해 보세요.
피씨10 192.168.10.35  255.255.255.224 192.168.10.62
피씨 40 192.168.10.36

피씨 20  192.168.10.67  255.255.255.224  192.168.10.94

피씨 30 192.168.10.99 255.255.255.224 192.168.10.126
피씨 50 192.168.10.100


S1(config)#vlan 10
S1(config-vlan)#name student
S1(config)#int giga 1/1
S1(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1(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
S1(config-if)#ip default-gateway 192.168.10.222
S1(config)#int vlan 99
S1(config-if)#ip add 192.168.10.193 255.255.255.224

S3(config)#vlan 10
S3(config-vlan)#name student
S3(config)#int giga 1/1
S3(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S3(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
S3(config-if)#int fa 0/15
S3(config-if)#switchport port-security violation shutdown
S3(config-if)#switchport port-security mac-address 00D0.D3B6.8499
S3(config-if)#ip default-gateway 192.168.10.222
S3(config)#int vlan 99
S3(config-if)#ip add 192.168.10.193 255.255.255.224

'공부하자...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설정  (0) 2011.03.23
1장 랜 디자인  (0) 2011.03.09
CCNA3_2  (0) 2010.12.20
CCNA-3 스위칭~ 첫번째  (0) 2010.12.20
8장.The Routing Table : A Closer Look 마지막 패킷트레이서  (0) 2010.11.25

① 기본설정
 - enable password
 - hostname
 - lin con 0
② 관리자를 위한 설정
 - line vty 0 4
 - logging synchronous
 - banner
 - ip domain-lookup

 

'공부하자...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설정하기  (0) 2011.03.30
1장 랜 디자인  (0) 2011.03.09
CCNA3_2  (0) 2010.12.20
CCNA-3 스위칭~ 첫번째  (0) 2010.12.20
8장.The Routing Table : A Closer Look 마지막 패킷트레이서  (0) 2010.11.25

메모리에

속성이나 실체를 정의한것을 객체라 하고 이를 올리기 위해 스트럭쳐를 포함한것이 클래스이다.

손대기 어려운 것들 api로 메소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객체는 이 정의된것을 가지고 구체화 시킬필요하기 때문에

객체와 인스턴스의 차이는 여러개의 객체가 있고 이를 한개만 지칭한것이 인스턴스 이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메모리이다.

객체와 인스턴스가 메모리에 클래스의 형태로 올라가는것이 클래스이다.

1. 구조
     계층화( 계층적인 구조를 가져야 된다.)  중요하다☆
         핵심
         분배
         접속
2. 원리
     크기
     대역폭
     증복(가용성) - 네트워크가 죽으면 안되기 대문에 중복이 중요하다..(이중화의부분 )
3. 선택
     Fixed(고정형)
     Stackable(가능한)
     Modular(모듈0 샤시

고정형이 많이 사용되는데 선택에서 선택사항시 고려해야 하는것들이
Data 흐름
user community
서버 위치
구성도

계층별 Switch feature(특징)

a(접속)                        |            d(분배)                |                 Core
PoE                                         보안                                        속도
QoS                                         정책                                       이중화
VLAN


core(1억)

분배계층(5천만원)

접속게층

'공부하자...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설정하기  (0) 2011.03.30
Switch 설정  (0) 2011.03.23
CCNA3_2  (0) 2010.12.20
CCNA-3 스위칭~ 첫번째  (0) 2010.12.20
8장.The Routing Table : A Closer Look 마지막 패킷트레이서  (0) 2010.11.25

'공부하자... > 윈도우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C 초기 설정하기  (0) 2011.03.14
MFC 계층 구조도  (0) 2010.11.29
MFC 프로그램의 구조  (0) 2010.11.29
윈도우 프로그래밍의 활용  (0) 2010.11.24
유틸리티 클래스와 집합 클래스  (0) 2010.11.22


데이터가 지나가면 약간의 지연이 생긴다.
여기서서 하는것이 full duplex(전화기) 와 half duplex(무전기) 가 있다.


스위치는 맥 어드레스로 길을 정한다.

<< 전부다 보고 보낸다(안정적인것에서 좋다) 단점은 에러율이 낮은것에서는 비효율적이다.
>> 앞에꺼만 보고 보낸다 ,에러율이 낮은곳에서는 좋다

키는 잠그는 키와 여는키가 다르다.
나에게 보낼사람은 여기에 담아주세요 하면서 잠그는키를 보내준다 그러면 풀수가 없기때문에 해커로부터 안전하다.
동기화 비동기화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 하는가에 대해서 나온다.
큐(동전통)에 저장 - port-base
전체에 해당되는 버퍼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점
멀리깔때는 라우터를 쓰고 랜쪽은 L3스위치를 써라
밖으로 나갈때만 라우터를 써라.


텔넷포트는 기본적으로 23번 SSH는 22번이다
line vty 에서 보면 0~15까지 총 포트의 수가 16개임을 알수있다.

'공부하자...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설정  (0) 2011.03.23
1장 랜 디자인  (0) 2011.03.09
CCNA-3 스위칭~ 첫번째  (0) 2010.12.20
8장.The Routing Table : A Closer Look 마지막 패킷트레이서  (0) 2010.11.25
7장 RIPv2 마지막 패킷 트레이서  (0) 2010.11.19



백본 - 상위층

work group - 중간층

access 하층

core부분을 보통 기가비트로 주고 distributiopn에 100메가 access 부분은 10메가로 준다고 한다.



PoE - power of ethernet (이더넷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하겠다)


왼쪽위 - 단일스위치 // 오른쪽 위 - 멀티스위치 // 아래 - 백투백지원해주는 스위치


QoS -어느정도까지 정보를 보장해주는것 (퀄리트 오브 서비스)

VLAN의 개념이란?
포트당 하나의 그룹을 묶어 하나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것을 VLAN이라 한다.

+ Recent posts